[강의]『서울영상미디어센터』2014.09.01. 영화 비평에 관해 당신이 항상 궁금하게 생각하는 것들, 그런데 어디서도 물어보지 못한 것들

서울영상미디어센터 > 미디어교육 > 상설교육 수강신청 ]

<9월 강좌> 영화 비평에 관해 당신이 항상 궁금하게 생각하는 것들, 
그런데 어디서도 물어보지 못한 것들 (수강신청 페이지 링크)


※ 강사 : 정성일

정원 : 15명 / 수강료 : 80,000원 / 모집기수 : 1기

접수기간 : 2014-08-13 ~ 2014-09-01

수강기간: 2014-09-01 ~ 2014-09-18 

(월~수,월~목(*총 6회))

수강시간 : PM7:30~10:00

강의장소 : 세미나실

회차

일정

내용

1

91

()

PM7:30~10:00

비평의 여러 갈래, 혹은 이것은 영화 비평이 아니다

2

92

()

PM7:30~10:00

영화에서 무엇을 볼 것인가 : 비평의 시작

3

93

()

PM7:30~10:00

어디서 멈추어 서야 하는가 : 시네마틱한 순간

***

9 8()~9 10() 추석연휴로 강의가 없습니다.

한 주 쉬고 다시 네 번째 강의가 진행됩니다.

4

915

()

PM7:30~10:00

소란스러운 쟁점들 : 미학과 테크놀로지의 사이

5

9 16

()

PM7:30~10:00

모델() : 거기서 멈추면 안 된다. 혹은 작가주의와의 거래

***

9 17()은 강의가 없습니다.

마지막 강의는 9 18()에 진행됩니다.

6

9 18

()

PM7:30~10:00

토론 : 하지만 비평은 (어디서도) 끝나지 않는다.

카테고리: news

[강의]『CGV압구정』2014.08.08. 무비꼴라쥬 톡플러스 – 두 개의 동경, 전후의 오즈와 21세기의 야마다 요지

8/8(금) 저녁8시 CGV압구정에서 “두 개의 동경, 전후의 오즈와 21세기의 야마다 요지” 라는 주제로 CGV 무비꼴라쥬 톡플러스가 있습니다. 별도의 영화 상영 없이 강의로만 진행되는 행사입니다.

(아래 이미지는 클릭시 원본 크기로 확대됩니다)

카테고리: news

[기사]『KMDB』2014.07.31. 오염된 자식들(1982)

KMDB > 영화글 > 임권택x101 ]

오염된 자식들 (1982)

글: 정성일(영화평론가) / 2014-07-31  (기사링크)

… (계속) 이 글은 <내일 또 내일>에서 이어진다. 그러므로 혹시 그 글을 놓쳤다면 먼저 읽어주기 바란다. 다시 한 번이라는 반복. 임권택은 매우 부정확한 방법으로 반복을 반복하고 있다. (같은 말을 서로 다르게 두 번 사용했다는 것을 주목해주기 바란다) 핵심은 그게 전체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여기서는 환원이나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진화적 관점에서 이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무언가를 재현하는 데 실패했다고 여겨질 때, 심지어 어디선가 자기가 다룬 세계와 분리된 무언가가 거기 표현되기를 거부하고 멈추었을 때, 그것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다시 한 번 건드리기 시작한다. 이미 나는 이 가정이 위험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후략)

카테고리: news

[기사]『보보담』2014.여름.13호. 연천은 어디에 있는 곳인가요? / What do you do? I am a politician and I do Music.

LS네트웍스 > 사이버홍보실 > 보보담 ]

2014.여름.13호 (2014.07.18) [PDF링크

 

Walking with a Shot / 영화로 만나는 연천 (pp.22~26) [아카이브 내 읽기]

연천은 어디에 있는 곳인가요?

: 영화에 관한 비밀스러운 이야기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처음에는 시나리오가 있습니다. 사람들은 무슨 이야기인지가 맨 먼저 궁금하니까요. 그 다음에는 시나리오에 맞는 배우들을 찾아야 합니다. 물론 시나리오가 원한다고 그 배우가 꼭 출연하는 것은 아닙니다. 송강호 씨는 사석에서 농담처럼 말했습니다. 우리 집에 가면 시나리오가 문학 전집 수준으로 책장에 꽉 차 있어요. 남의 영화 시사에 초대받아 가면 처음 보는데도 이미 엔딩을 내가 다 알고 있는 영화인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후략)

 

Prologue / 영화로 떠나는 여행 (pp.186~193) [아카이브 내 읽기]

What do you do? I am a politician and I do Music.

: 아이슬란드에 대해서 우리들은 아마 거의 아는 게 없을 겁니다. 우선 이 나라에 대해서는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시험에 문제가 나온 적이 없잖아요. 게다가 유명인이라곤 포스트 펑크 음악의 디바라고 불리는 비외르크(Björk)가 전부지요. 하지만 그녀는 뉴욕에서 활동 중이라 아이슬란드를 떠난 지 오래입니다. 물론 좀 더 음악을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몽환적인 비트와 거의 슬로우 모션처럼 진행하는 기타 코드로 멜랑콜리한 사운드의 풍경화를 들려주는 시구르 로스(Sigur Rós)를 왜 두 번째로 호명하느냐고 불평을 늘어놓을지 모르겠습니다. (후략)

카테고리: news

[책]『어떤 날 5』-여행 사용법, 북노마드, 2014.07.18

출판사 북노마드의 여행무크지『어떤 날』 5호에 “나는 루브르를 달려보고 싶다” 제목의 글이 게재되어 있습니다. 

알라딘(link), 예스24(link), 교보문고(link)

카테고리: news

[강의]『서울영상미디어센터』2014.07.30. 정성일 영화평론가 특강 : 질문하는 관객, 대답하는 평론가

[ 서울영상미디어센터미디어교육 > 상설교육 수강신청 ]


<7월 강좌> 정성일 영화평론가 특강 : 질문하는 관객, 대답하는 평론가 (공지사항 링크)

※ 강사 : 정성일

상세페이지 클릭후 질문지에 답해주시면 특강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 정원 : 50명 / 수강료 : 0원 / 모집기수 : 1기

– 접수기간 : 2014-07-30 ~ 2014-07-30

– 수강기간: 2014-07-30 ~ 2014-07-30 

–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

– 수강시간: PM7:00~22:00

– 강의장소 : 세미나실

+. 8/2. 서울영상미디어센터 공식블로그. [문화기 있는 홀수달] <카페느와르> 정성일 영화평론가와 함께했던 3시간 질의응답 끝판 (링크)

카테고리: news

[DVD] 2014.07.08. 이성구 컬렉션 (4disc 박스세트) 중『장군의 수염』음성해설 참여

[ 한국영상자료원 > 뉴스 ]

2014-07-07. 한국 뉴웨이브의 기수, 이성구 감독의 대표작을 DVD로! (링크)

‘뉴웨이브’의 기수, 이성구 감독의 대표작을 DVD로!

한국영상자료원, <이성구 컬렉션> DVD 박스세트 출시

한국영상자료원(원장 이병훈)은 이성구 감독의 주요 작품 4편을 수록한 <이성구 컬렉션> 박스세트를 DVD로 출시했다. 이성구 감독은 문학을 영화화한 ‘문예영화’ 장르를 통해 한국식 ‘모더니즘 영화’를 성취함으로써, 1960년대 한국영화의 중요한 감독으로 평가되는 인물이다. 이번 컬렉션에 포함된 작품 역시 황순원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일월>(1967), 이효석의 동명 단편 소설을 원작으로 한 <메밀꽃 필 무렵>(1967), 이어령의 동명 중편 소설을 김승옥이 각색해 영화화한 <장군의 수염>(1968), 윤조병의 희곡 『이끼 낀 고향에 돌아오다』를 각색한 <지하실의 7인>(1969) 등 모두 4편이다. (중략) 

“이성구 컬렉션”(디지팩, 4 Disk)

 ① <일월>(1967) | 한국어, 영어, 일어 자막 | 2.35:1 아나몰픽 와이드스크린, 흑백 | 돌비 디지털모노 | 100분 

   – Special Features : 이미지 자료 모음(Image Gallery) 

 ② <메밀꽃 필 무렵>(1967) | 한국어, 영어, 일어 자막 | 2.35:1 아나몰픽 와이드스크린, 흑백 | 돌비 디지털모노 | 98분 

   – Special Features : 이미지 자료 모음(Image Gallery) 

 ③ <장군의 수염>(1968) | 한국어, 영어, 일어 자막 | 2.35:1 아나몰픽 와이드스크린, 컬러 | 돌비 디지털모노 | 101분 

   – 음성해설 : 정성일 (영화평론가/감독)

   – Special Features :  예고편(Trailer), 이미지 자료 모음(Image Gallery) 

 ④ <지하실의 7인>(1969) | 한국어, 영어, 일어 자막 | 2.35:1 아나몰픽 와이드스크린, 컬러 | 돌비 디지털모노 | 99분 

   – 음성해설: 김대승(영화감독), 주성철(기자)

   – Special Features : 이미지 자료 모음(Image Gallery) 

 ㅇ 등급 : 15세 이상 관람가

 ㅇ 출시일 : 2014.6

 ㅇ DVD 제작사 : 블루키노

 ㅇ 소비자가 : 49,500원

카테고리: news

[기사]『영화천국』2014.05~06.Vol.37. 상상의 시네마테크: 3D, 영화의 역사 어딘가에서 놓친 잠재적 가능성을 제시함

[ KMDB > 영화글 > 웹진 영화천국 > 37호 ]

 

2014.05~06. Vol.37. 상상의 시네마테크: 3D, 영화의 역사 어딘가에서 놓친 잠재적 가능성을 제시함 [link], [PDF]

사실 아직 아무것도 분명하지 않다. 나는 3D가 극장 효과의 일부인지 아니면 미디어로서 영화의 새로운 기능이 발명된 것인지에 대해서 어느 쪽도 미심쩍게 바라보고 있다. 물론 누군가는 오늘날 영화의 경험을 과정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면 영화관의 테크놀로지를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바타>를 보았을 때까지만 해도 동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라이프 오브 파이>와 <그래비티>를 보고 난 다음 망설이게 되었다. 물론 이 영화들이 걸작인지의 여부는 다른 문제다. 나는 지금 3D라는 효과에 한정 지어서 말하는 중이다. 효과? 그렇다. 지금 당신은 즐기는 법에 대해서 말하는 중인가요? 그럴지도 모른다. 누군가는 원치 않지만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견딜 수 있는 유연한 수영법을 익힐 수밖에 없게 생겼다. 하지만 다른 누군가는 즐길 것이다. (후략)

카테고리: news

[기사]『문학과사회』2014.여름. 21세기 신사숙녀 ‘反’ 매너 가이드 2.1 버전-영화 편

[ 문학과지성사 > 도서안내 ]

| 출판사 문학과지성사 

| 발행일 2014년 5월 28일 

| ISBN 12-272-85X- 사양 변형판 153×225 · 665쪽 

| 가격 15,000원

(상세 안내 페이지 링크)

여름호를 엮으며

(전략) 이번 호 『문학과사회』 <기획>의 주제는 ‘취향에 대해 논쟁할 수 있는가’다. 취향에 대해서는 논할 여지가 없다는 오래된 격언에도 불구하고, 주제로 삼았다는 것 자체가 취향을 논쟁의 대상에 놓았다는 뜻임은 자명하다. 필자 중 한 분의 말을 빌리면 “취향의 집단적 네트워크” 혹은 “취향의 코드화된 블록들”이라는 묘한 현상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취향이므로 마땅히 존중할 것을 요구하는 풍토에 대해 서동진의 「이토록 아둔한 취미의 인간을 보라」와 정성일의 「21세기 신사숙녀 ‘反’ 매너 가이드 —영화 편」은 각각 주체의 방어와 공동체의 (불)가능성이라는 문제에 주목해 논의를 풀어가고 있다. 이상길의 「취향, 교양, 문화 —사회학주의를 넘어서」는 사회적 결정 요인과 사회적 기능만을 문제 삼는 사회학주의를 넘어 취향을 통해 자기 형성, 더 고색창연하게는 교양에 이를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점검하고 있다. (후략)

카테고리: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