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witter.com/cafenoir_me/status/351753222395932674
올해 2013년 상반기 극장에서 본 10편의 베스트 영화. 순위없음.
<홀리 모터스> 레오 카락스
<우리에게 교황이 있다> 난니 모레티
<장고> 쿠엔틴 타란티노
<비스트> 벤 제틀린
<문라이즈 킹덤> 웨스 앤더슨
<링컨> 스티븐 스필버그
<테이크 쉘터> 제프 니콜스
<스타 트렉 다크니스> ( 3 D version) JJ 에이브럼스
<비포 미드나잇> 리차드 링클레이터
<코스모폴리스> 데이빗 크로넨버그
카테고리 보관물: news
[강의]『영화의 전당』2013.07.06. ‘왜 오즈를 다시 보아야 하는가’

영화의전당 포럼 2013 – 오즈 야스지로 50주기: 오즈의 이면
2013-07-02(화) ~ 2013-07-07(일)
[ 프로그램 상세 안내 링크 ]
오즈 야스지로의 50주기를 맞아 ‘영화의전당 포럼 2013’에서는 우리가 몰랐던 오즈를 만나보려 합니다. 고전기 영화의 마지막 연대에 영화의 아름다움과 깊이의 한 극점에 이른 위대한 예술가의 또 다른 얼굴을 만날 수 있는 다시 없을 귀중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 특별강연 – 영화평론가 정성일
주 제 : ‘왜 오즈를 다시 보아야 하는가’
강연자 : 영화평론가 정성일
일 시 : 7월 6일(토) 15시 <비상선의 여자> 상영 후
* 영화를 보신 분들만 참가하실 수 있습니다.
[기사]『보보담』2012.6호~8호. 영화 관련 기사 모음
[ LS네트웍스 > 사이버홍보실 > 보보담 ]
LS네트웍스 사외보 보보담 온라인 페이지에 게재된
2012.가을.6호~2013.봄.8호 내의 기고문 출처를 정리합니다.
2013.봄.8호 (2012.12.20) [PDF링크]
영화가 인천을 소비하는 방식 (pp.104~107)
2012 가을.7호 [PDF링크]
<현기증> <제3의 사나이>의 사랑의 길들
: 길에서 만난 사랑, 길에서 떠난 사람 (pp.94~99)
2012.가을.6호 [PDF링크]
<Power Talk>
영화가 많이 말하다 | 책임 편집 정성일
Interview & Interview 영화감독 임권택을 만나다
: 나는 오늘도 길을 나서고 싶다. (pp.62~69)
Road Movies of the World 세계의 로드 무비들
: 모든 길은 집으로 가는 길이다 (pp.74~83)
Just One scene 이 한 장면
<서편제> Scene 41. 슬픔을 웃으며 아픔을 삭이며 가는, 삶이라는 길 (p.84)
[기사]『KMDB』2013.06.25. 울지 않으리 (1982, 임권택)
[ KMDB > 영화지식 > 전문칼럼 > 임권택x101; 정성일, 임권택을 새로 쓰다 ]
울지 않으리 I won’t cry (1974, 임권택) (2013-06-25) [기사링크]
영화를 보러 쏘다니는 것은 가끔 시대착오적으로 여겨진다. 나는 이 말을 단지 새로운 방법으로 방에서 영화를 보는 것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영화관에 가는 것을 비웃기 위해서 꺼내 든 것이 아니다. 영화 그 자체가 아니라 영화를 보는 경험이라는 것을 중심에 가져다 놓는 것을 허락한다면 영화들은 서로 구름처럼 뒤섞인다, 고 말하고 싶어진다. 이 영화가 저 영화와 겹치고, 저 이미지가 이 영화 안으로 들어온다. 쇼트들 사이의 칸막이는 어느새 사라지고 그 사이를 어떤 경계도 없이 자유자재로 비행할 때 거기엔 어떤 법칙도 없고 중심도 없다. 그저 감정의 바람이 있을 뿐이며, 이따금 하나로 뭉친 구름들이 만들어낸 비가 내리거나, 혹은 반짝이는 감각의 빛이 섬광처럼 스쳐 갈 것이다. (후략)
[책] 에밀리 비커턴,『카이에 뒤 시네마 – 영화비평의 길을 열다』, 이앤비플러스, 2013.05.20
[대화]『광주극장』2013.07.18.〈거미집의 성〉시네마톡
[ 광주극장 공식카페 ]
구로사와 아키라 특별전
2013.07.13~07.20. 광주극장
(특별전 안내 글 링크)
(전략)… 이번 특별전에서는 <이키루>, <요짐보> 등의 대표작과 함께 국내에서 상대적으로 만날 기회가 적었던 <조용한결투>, <추문> 등의 초기작품까지 한꺼번에 만나볼 수 있습니다. 기간 중 특별행사로 <천국과 지옥> <붉은 수염>에 출연한 일본을 대표하는 여배우 가가와쿄코 여사와의 대담 및 씨네토크, 정성일 영화평론가의 시네마톡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묵직한 주제의식과 영화적 즐거움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놓치지 않았던 구로사와 아키라의 저력을 확인할 수 있는 이번 기회를 놓치지 마시길 바랍니다.
■ 특별행사
시네마톡
일시ㅣ 7월18일(목) 7시20분 <거미집의 성> 상영 후
참석ㅣ 정성일 영화평론가
[기사]『상상마당 웹진』Vol.17. 2013.05.31. 비평은 쓰레기다 – 〈키노〉편집장 정성일
[ KT&G 상상마당 > WEBZINE > PEOPLE ]
상상마당 WEBZINE Vol.17.
비평은 쓰레기다
<키노> 편집장 정성일(관련기사 링크)
– 시각예술 | 2013/05/31 | 글. 양승철(< GQ KOREA > 피처 에디터)
영화 비평의 시대가 늘 지금인 사람에게 <키노>는 회고의 대상이 아니었다. <키노>의 오래된 편집장 정성일을 만났다.
<키노>를 아주 오랜만에 펼쳐봤습니다. 독자일 때는 보이지 않던 지점들이 보이던데요. 특히 <키노>가 광고를 대하는 태도가 인상적이었습니다. 초창기 <키노>는 광고를 한데 모아 놓거나 기사를 고려해 광고페이지에서 이질감을 줄이려는 노력이 엿보입니다.
광고팀과 많이 싸웠습니다. 근데 고맙게도 광고 팀장이 <키노>의 성격을 이해해서 제 의견을 잘 받아줬습니다. 게다가 <키노> 독자들은 이상한 광고가 책에 실리면 항의 엽서를 빗발치듯이 보냈어요. 어느 때는 죄송하다고 사과문을 실은 적도 있었죠. 광고가 살아야 잡지도 살지만 결국 잡지는 독자 없이는 살 수 없어요. 이를테면 수익은 광고를 통해 발생하지만, 독자가 줄어들면 광고도 줄어드니까요. <키노>의 특징은 독자의 충성도에 있어서 독자와의 어떤 약속이 깨지면 결국 <키노>는 존재하기 힘들다는 판단을 했어요. 그래서 어떨 땐 광고팀이 광고주를 설득했어요. 광고주도 <키노>의 마음을 이해했고요. (후략)
[대화]『인디스페이스』2013.06.13.〈춤추는 숲〉인디토크 (강석필 감독 with 정성일 영화평론가)
[ 인디스페이스 블로그 관련 글 ]
http://indiespace.kr/1470
Event & 인디토크(GV)
<춤추는 숲> 인디토크
● 일시: 6월 13일(목) 오후 7시 40분
● 참석: 강석필 감독 with 정성일 영화평론가
[ 인디스페이스 네이버 카페 관련 글 ]
http://cafe.naver.com/indiespace/5824
제목: 춤추는 숲
장르: 다큐멘터리
상영시간: 95분
개봉: 2013년 5월23일
등급: 전체관람가
감독: 강석필
프로듀서: 홍형숙
출연: 쟁이, 짱가, 꽃다지 외 성미산 마을 주민들
배급 및 홍보/마케팅: 스튜디오 느림보
공식블로그: http://d_forest2013.blog.me
공식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forestdancing
[기사]『KMDB』2013.06.04. 인터뷰: 배우 안성기에서 감독 임권택에로
[ KMDB > 영화지식 > 전문칼럼 > 임권택x101; 정성일, 임권택을 새로 쓰다 ]
인터뷰: 배우 안성기에서 감독 임권택에로 (2013-06-04) [기사링크]
나는 임권택 감독님에게 그냥 무턱대고 질문을 한 적이 있다. “만일 두 명의 배우가 있다면, 그러니까 한 명은 연기는 별로지만 이미지가 그 이야기 속의 인물에 딱 맞는 경우와 그 배역과 이미지가 동떨어졌지만 정말 연기를 잘하는 배우인 경우, 둘 중 감독님은 어느 쪽을 선택하시는지요?” 나는 인물이란 이야기의 연출 안에서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당연히 후자라고 이미 결론을 내리고 그냥 지나가듯이 드린 질문이었다. 그런데 감독님은 망설이지 않고 대답했다. “당연히 전자지요. 왜냐하면 영화는 시간이 제한되어 있잖아요. 만일 인물이 화면에 나왔는데 그게 한눈에 보고 믿어지지 않으면 그걸 설득하느라고 내내 시간을 보내야 하는 거요, 그러다가 정작 중요한 이야기를 할 시간을 쫓기게 된단 말이에요, 영화는 그런 거예요” 나는 이 말이 기묘하게 들렸다. 왜냐하면 영화를 촬영하는 현장에서 임권택 감독님이 한 장면을 찍기 위해 수십 테이크를 반복해서 부르는 것을 이미 목격한 다음이기 때문이다. 혹은 그저 간단하게 돌담길을 걸어가는 장면을 초저녁에 시작해서 한여름 새벽이 밝아올 때까지 단 한 순간도 쉬지 않고 반복해서 다시 찍은 다음 결국 오케이 없이 끝내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그때는 정말 보는 쪽에서조차 숨이 막힐 지경이 된다. 그는 미세한 실수조차 놓치는 법이 없다. 이따금 혹시 그가 연기하는 배우를 슬로우 모션으로 관찰하는 특별한 능력이 있는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그런데도 망설이지 않고 임권택은 배우란 연기가 아니라 그 인물이 주는 인상이 먼저라고 대답했다. 이때 인상이라는 말은 무언가 설명을 빠져나가는 불안한 느낌을 준다. (후략)
[전시]『KT&G 상상마당 ABOUT BOOKS』제4회.2013.06.13~08.11. 오늘 꺼내본, 어제의 잡지
[ KT&G 상상마당 > 프로그램 > 시각예술 ]
제4회 KT&G 상상마당 ABOUT BOOKS :
INDEPENDANT BOOK MARKET (전시정보 링크)
전시구분 기획전
전시설명 꾸준히 형성되고 있는 독립출판물을 관람객들에게 보다 친근한 방식으로 소개하는 마켓형 전시
관람비용 무료
전시기간 2013.06.13~2013.08.11
전시장소 갤러리
문의안내 02)330-6223
출판물 기획전 ‘제4회 KT&G 상상마당 ABOUT BOOKS’ 개최
http://www.wapsmag.com/archives/12128
출판물의 과거와 지금을 만날 수 있는 기획전 ‘제4회 KT&G 상상마당 ABOUT BOOKS’가 오는 6월 13일부터 8월 11일까지 서울 서교동 KT&G 상상마당 갤러리 및 스튜디오에서 열린다. (중략) 인터뷰 전시 ‘오늘 꺼내본, 어제의 잡지’는 현업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에디터들이 90년대 문화지 편집장과 에디터를 직접 만나 그들이 남긴 업적과 현재 우리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영상과 출판물로 담아 선보인다. ‘키노키드’를 낳았던 90년대 영화잡지의 결정판 ‘키노’의 정성일 편집장, 기업 마케팅의 일환으로 만든 잡지라는 사실이 믿어지지 않을 만큼 자유로운 내용과 신선한 이미지를 선보였던 ‘티티엘’의 김선미 에디터, 포스트모던과 문화에 대한 수요를 반영한 파격적 문화잡지라 일컫는 ‘이매진’의 김영주 편집장, 90년대 스트리트 매거진 붐의 신호탄을 올린 ‘인서울매거진’의 박성태 편집장, 대중음악에 대한 진지한 평가를 시도한 음악잡지 ‘서브’의 김민규 에디터를 만나 당대 잡지들이 현재 우리에게 남긴 것을 묻는다. (후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