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 안내 페이지 링크 ]
한국을 대표하는 영화평론가 정성일, 그의 세 번째 영화.
<임권택 프로젝트>(가제)의 후반 작업을 위한 비용 마련에 여러분의 뜻을 함께합니다.
<임권택 프로젝트>(가제)는 영화 역사의 살아있는 전설인 임권택 감독의 연출 비밀을 탐구함으로써, 임권택 감독의 연출 자체는 물론 한국영화사에 있어서 귀중한 자산으로 그 의미를 더할 것입니다.
연출자 정성일은 임권택 감독을 이미 1987년에 인터뷰 하여 [한국영화연구 1: 임권택]이라는 책으로 묶었습니다. 기자이자 영화평론가로 활동하며 임권택 감독의 현장을 수차례 방문했고, 2002년에는 임권택 감독을 다시 인터뷰 하여 두 권의 책으로 이루어진 [임권택, 임권택을 말하다]를 출간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수많은 인터뷰를 하고 비평을 쓰면서도 해결되지 않는 연출의 비밀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영화감독의 연출은 일종의 인간문화재의 경험과 기술에 근거한 무형의 테크닉이기 때문입니다. 그 비밀은 임권택 감독의 작업현장 자체에 숨겨져 있으며, 이것은 과정 전체를 기록하지 않으면 알 수 없을 뿐 아니라 이해할 수도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예술가의 작품은 어느 날 갑자기 나오는 것이 아닐 것입니다. 모든 작품은 그 자신의 삶의 일부이며 동시에 그가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임권택 프로젝트>는 임권택 감독의 일상생활과, 그리고 그의 102번째 장편영화 <화장>의 촬영현장, 그곳에서 마주치게 될 수많은 창작의 순간들을 기록합니다.
(중략)
정성일 감독과의 대화
Q. 이미 평론가로서 오랜 세월 임권택 감독을 인터뷰해왔는데, <임권택 프로젝트>(가제)에서만 만날 수 있는 특별한 내용이 있다면?
A. 촬영 중 임권택 감독님은 영화 <화장>의 기획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을 때도 묵묵히 그 과정을 받아들이며 일상생활을 이어가셨습니다. 그런 와중에 감독님은 첫 손자를 보셨고, 부산 동서대학교 임권택 예술대학에서 강의를 하셨으며, 성당에서 세례를 받기도 하셨습니다. 단지 어느 한 영화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임권택 프로젝트>는 거장의 삶에서 과연 어떤 것이 영화라는 창작으로 이어지는지, 그 과정 전체를 기록하지 않는다면 알 수 없는 비밀을 파헤치고자 합니다.
Q. 정성일 감독은 자신의 영화 <카페 느와르>에서부터 동시녹음방식을 고수했는데…
A. 동시녹음의 한계점에 대해서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후시로 다시 녹음되지 않은, 동시녹음이 만들어내는 현장의 힘과 미학적인 가능성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으며, 현장에서 발생하는 모든 소리도 임권택 감독님의 창작의 일부라 생각하기에, 그 모든 것을 고스란히 카메라에 담아 여러분께 선사하고자 합니다.
Q. <임권택 프로젝트>(가제)를 제작하면서 고수한 특별한 원칙이 있다면?
A. 첫째, 작업의 과정을 고스란히 따라가는 것입니다. 현장은 언제나 변화무쌍하고 조건은 끊임없이 변하기에, 필요할 경우 그 자리에 카메라를 세워놓고 무한정 기다려보는 수고를 들이더라도 창조의 순간을 담아내고자 합니다.
둘째, 모든 장면의 순간에 함께 있는 것입니다. 현장이라는 우주의 중심에 있는 감독을 놓고 그 주위를 회전하기 시작하는 행성들과도 같은, 스탭들의 리듬을 따라가보는 것입니다.
셋째, 임권택 감독님의 현재에 충실하는 것입니다. 이미 너무나도 많은 인터뷰와 방송 자료, 신문 기사 등을 통해 ‘임권택’에 대한 이야기가 넘쳐나고 있지만, 임권택 감독님의 현재는 지금껏 살아온 시간들의 결과입니다. 영화가 해야 할 일은 바로 현재의 시간 안을 파고들어가서, 그 안에 켜켜이 쌓여 있는 과거의 삶의 시간을 그 안에서 끌어내는 작업일 것입니다.
(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