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KMDb』 2016.04.28. 편집자가 정성일 평론가를 인터뷰 하다

KMDb > 영화글 > 임권택x102 ]

편집자가 정성일 평론가를 인터뷰 하다
글:유성관(한국영상자료원) / 2016-04-28  (기사링크)

#1.
1990년대에 영화의 매혹에 빠져들기 시작한 사람이라면, 정성일이라는 평론가를 지나칠 수 없었을 것이다. 나 또한 그랬다. 내가 그를 인지하게 된 것은 잡지 「로드쇼」를 통해서였다. 잡지의 마지막 페이지에는 편집자들의 짧은 글이 사진과 함께 실렸는데, 늘 사진 속에서 뚱한 표정을 짓고 있는 남자가 있었다. 그리고 편집 후기에서는 영화보다는 음악 이야기를 더 많이 했던 거로 기억한다. 그 남자가 정성일이었다. 90년대 초, 내가 다니던 근처의 대학에서 정성일 평론가가 강연한다는 소식을 듣고 친구들과 몰려갔다. 강당에는 생각보다 사람들이 없었고, 객석의 반응도 그닥 열광적이지 않았다. 강연의 마지막 즈음 U2의 어떤 뮤직비디오를 보여주며 독특한 영상기법을 설명하는 대목에서조차 반응이 없었다. 그때 정성일 평론가는 치욕적인 한마디를 던졌다. 여기 오신 분들은 U2보다 김수희를 들으시나 봐요. 예상치 못한 공격을 받은 학생들은 그제야 쑥스럽게들 웃었다. 하지만 나에게 그날 밤은, 임권택 감독의 <길소뜸>(1985)에 나왔던 롱테이크, 신성일이 누웠다가 일어나며 프레임에서 사라지다 들어오길 반복하는 그 장면을 충격적으로 목격한 날이기도 했다. 그 강연 이후, 몇몇 학생들은 정성일 평론가와의 뒤풀이 자리에 갔다고들 했는데 소심했던 난 그냥 기숙사로 돌아갔다. 그 후 ‘정은임의 영화음악실’이 있었고 ‘키노’가 있었다. 복사에 복사를 거듭해 화질이 엉망인 VHS를 보며 영화에 대한 갈증을 채우던,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희생>에 2만 5천 명의 관객이 들고, 영화 전문 잡지가 계속 쏟아져 나오던 그때로 시간은 마냥 흘러갔다. (후략)

카테고리: news

[기사] 『HEYDAY』 2016.04.23호. 우리는 친구 : 영화평론가 정성일, 30년 지기 강헌을 말하다

월간 『HEYDAY』 2016.4.(23호) 에 게재된 “우리는 친구 : 영화평론가 정성일, 30년 지기 강헌을 말하다” 기사가 온라인에 공개되었습니다. https://www.junsungkin.com/24083

[ 홈 > 피플 > 매거진 > 우리끼리 관계학 > 이번 호 모아보기 ]

국내 영화계와 음악계를 대표하는 평론가, 정성일과 강헌. 이 둘은 30년 지기다. 서로의 소소한 일상까지도 공유하는 두 사람이 한자리에 마주했다. 정성일이 묻고 강헌이 답했다.

강헌과는 오래전에 만났다. 1990년의 일이다. 그 후 우리는 종종 스쳐 지나가듯이 그렇게 문득 만나곤 했다. 내가 강헌을 처음 만났을 때 그는 당대에 가장 뛰어난 안목을 지난 한국 대중음악 평론가였고 동시에 <닫힌 교문을 열며>를 기획하고 시나리오를 쓴 독립영화 활동가였다. 하지만 그는 거기서 멈추지 않았다. 만날 때마다 그는 변신하고 있었다. 여전히 음악 평을 썼지만 강헌은 무엇보다 대중문화의 판을 바꾸고 싶어 했다. 믿을 수 없을 정도의 열정. 어디선가 마치 훔쳐 온 것만 같은 고갈되지 않는 에너지.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그가 쓰러졌다는 말을 들었다.

거의 죽음 가까이 간 강헌은 한동안 세상에서 모습을 감추었다. 다시 그를 만난 것은 언제나처럼 문득 온 그의 전화였다. 남산에서 와인 바를 한다고 술이나 마시자고 했다. 그를 만나서 새벽 햇빛을 볼 때까지 마셨다. 그 와인 바에는 어디에도 없는 수만 장의 LP 음반이 있었다. 그 음반들은 강헌이 평생에 걸쳐 사 모은 보물들이었다. 그날 우린 와인과 음악을 실컷 즐겼다. 하지만 여기가 끝이 아니다. 또 다른 일이 그를 기다리고 있었고 강헌은 다시 잠수를 탔다. 이번에는 명리학을 배워 나타났다. 갑자기 다른 사람들의 운명을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나는 강헌이 변신을 거듭해도 놀라지 않을 마음의 준비를 했지만 이번에는 좀 당황했다. 이 만남은 여기서 시작한다.

정성일 책 <명리 운명을 읽다>의 반응이 좋죠?
강헌 지난해 12월에 책이 나왔는데 관심이 없었어요. 아무래도 명리학은 혹세무민하는 거다, 그러면서 정말 아무도 관심이 없는 거예요(웃음). 그런데 한 신문사와 인터뷰를 하자 갑자기 출판사 업무 마비가 된 겁니다. 딱 들어도 강남에 있음직한 50대 여자들이 전화해서 “도사님 번호 좀 알려주세요”라고 한 거죠. 이 언니들은 내가 음악 평론가라는 건 관심도 없고, 그저 새로운 도사가 나타났으니까 약발 떨어지기 전에 자기가 먼저 봐야겠구나 하더라니까(웃음). 그게 이렇게 뜨거운 반응의 시작이었죠. (후략)

카테고리: news

[대화] 『아트하우스모모』 2016.04.20. 프랑수아 트뤼포 〈400번의 구타〉 마스터 클래스 GV

『아트하우스.모모』 4/20(수) 저녁7시 프랑수아 트뤼포 감독의 <400번의 구타> 상영 후 마스터 클래스 GV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ㅣ모모@ 4/13 개봉작 <400번의 구타> 정성일 평론가와 함께 하는 마스터 클래스 GV!ㅣ누벨바그의 눈부신 시작을 알린 프랑수아 트뤼포의 위대한 걸작! 믿고 듣는 정성일 평론가 겸 감독과 함께 하는 <400번…

아트하우스.모모에 의해 게시 됨 2016년 4월 7일 목요일

카테고리: news

[기사] 『영화천국』 2016.03.04. 영화 여행을 시작하는 시네필을 위한 안내서

[ 한국영상자료원 > 웹진 ]

2016.03.04.Vol.48. [목차링크, 전문PDF링크]

누구나 한 번쯤 특정 영화에 매혹되어 영화를 더 보고 싶고, 더 읽고 싶고, 더 알고 싶었던 경험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시네필(Cinephile). 굳이 이 부담스러운 그룹에 속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영화로 인생을 느끼고, 배우고, 즐기고 싶어 하는 당신이 어딘가에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당신을 ‘영화 초심자’라고 명명한다. 그리고 도대체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당신을 위해 작은 안내서를 준비했다. 물론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우선, 「영화천국」이 마련한 영화 여행의 안내자, 정성일 평론가의 제안을 믿고 따라가보자. 새 학기가 시작되는 봄, 이제 막 시작하는 당신의 영화 여행에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라 믿는다.

+. 제보해주신 박준휘님께 감사드립니다.

카테고리: news

[대화] 『씨네큐브』 2016.04.11. 〈스틸 플라워〉 GV (박석영 감독, 정하담 배우, 정성일 평론가 모더레이터)

『씨네큐브』 4/11(월) 저녁8시 <스틸 플라워> 상영 후 박석영 감독, 정하담 배우가 참여하고 정성일 평론가가 모더레이터로 진행하는 GV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카테고리: news

[기사] 『ASIANA』 2016.04.(29호). 파리 그리고 두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 밤과 낮)

아시아나항공에서 월간으로 배포되는 기내지인 “ASIANA culture, style, view” 2016.04.(29호)에 “파리 그리고 두 영화” 라는 컬럼이 게재되었습니다.

해당 기내지는 아래 링크의 설명을 통해 Android, iOS 모바일 기기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http://flyasiana.com/CW/ko/common/pageContent.do?pageId=PC_00002140


movie and the city
파리 그리고 두 영화

이미 여러 편의 영화가 떠올랐을 것이다. 나는 여기서 약간 방향을 틀어볼 생각이다. 우선 프랑스 영화는 모두 제외했다. 그런 다음 파리를 방문한 영화만을 떠올려보았다. 이번에는 다소 예외적으로 두 편의 영화를 골랐다.

먼저 파리를 예술적으로 여행하는 분을 위한 영화로, 혹은 이미 다녀온 파리를 떠올리기에 우디 앨런의 <미드나잇 인 파리>만한 영화가 없다. 내가 한 이야기가 아니라 이 영화를 소개한(믿을 만한 안목을 지닌) 문화주간지 <텔레라마>의 조언이다. 그저 재치 만점이라고 감탄할 수 밖에 없는 우디 앨런의 영화는 파리에 여행 온 미국인 커플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후략)

카테고리: news

[강의] 『교하도서관』 2016.04.27~05.25. 영화를 바라 보는 다섯 가지 시선

[ 파주시 교하도서관 > 문화강좌 > 문화강좌신청 ]

[ 영화를 바라 보는 다섯 가지 시선 ] (해당강좌 신청페이지 링크)
1. 영화의 시작, 혹은 길거리에서 태어난 예술
2. 영화에서 무엇을 보아야 하는가?
3. 영화에서 당신이 알아야 할 두 세가지 문법들
4. 영화사에서의 열 개의 사건
5. 영화, 돈의 예술

강사 | 정성일(영화평론가)
일정 | 4.20~5.18 (매주 수) 10:30~12:00
장소 | 교하도서관 2층 문화강연실
대상 | 성인 50명
접수 | 4.1 (금) ~ 방문/전화/홈페이지

강사 일정 변동으로인해 부득이하게 강의가 한주 미뤄지게 되었습니다.
변동 전 : 4/20~5/18 매주 수 10:30~12:00
변동 후 : 4/27~5/25 매주 수 10:30~12:00
일정에 착오없으시기 바랍니다.

카테고리: news

[기사] 『ASIANA』 2016.03.(28호). 〈현기증〉 그리고 샌프란시스코

아시아나항공에서 월간으로 배포되는 기내지인 “ASIANA culture, style, view” 2016.03.(28호)에 “<현기증> 그리고 샌프란시스코” 라는 컬럼이 게재되었습니다.

고정컬럼명은 movie and the city 이며, 지난 게재분의 제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16.02. ‘밀레니엄맘보’ 그리고 유바리
– 2016.01. ‘율리시즈의 시선’ 그리고 새해
– 2015.12. ‘크리스마스에 눈이 올까요’ 그리고 아비뇽
– 2015.11. ‘만춘’ 그리고 교토

해당 기내지는 아래 링크의 설명을 통해 Android, iOS 모바일 기기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http://flyasiana.com/CW/ko/common/pageContent.do?pageId=PC_00002140

+. 제보해주신 노윤형님께 감사드립니다.


movie and the city
현기증 그리고 샌프란시스코

아마 샌프란시스코를 잘 설명할 수 있는 이는, 그저 당신 주변을 살펴보기만 해도 열 명이 넘을 것이다. 나는 고작해야 이 도시를 두 번 방문한 게 전부다. 하지만 대신 이렇게는 말할 수 있다. 나는 누구보다 이곳이 무대로 나오는 영화를 많이 보았노라고. 그러면 당신은 코웃음 치며 즉각 반문할 것이다. 어떻게 거기에서 직접 본 것과 영화에서 본 것을 비교할 수 있단 말인가. 내 말이 그 말이다. 하지만 여기서는 정반대로 그 말을 맞받아쳐보고 싶다. (후략)

카테고리: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