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스뉴스 > 칼럼 전체]
[전문가칼럼] 정성일의 영화순정고백담 (일곱 번째 이야기)
기사입력 : 2011.04.28 18:36
[맥스무비=정성일(영화평론가/영화감독)] 말하자면 이런 명단들이 있다. (이를테면) 마노엘 데 올리베이라의 <안젤리카, 이상한 경우>. 지아 장커의 <해상전기>. 장-뤽 고다르의 <필름; 사회주의>. 베르너 헤어조크의 <나쁜 경찰>. 알랭 레네의 <잡초>. 필립 가렐의 <불타는 여름>. 블릴란테 멘도자의 <롤라>. 알렉산더 소쿠로프의 <파우스트> 등등. 이 영화들은 ‘절대로’라고 말하고 싶을 정도로 개봉하지 않는 명단이다. 아마 보았다면 운 좋게 영화제에서나 만났을 것이다.
나는 지금 극소수의 시네필들만이 숭배하고 있는 컬트영화나 혹은 시네마테크에서나 만날 수 있는 고전 영화의 목록을 들척거리려는 것이 아니다. 혹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데뷔감독들의 영화 목록을 잘난 체 하면서 나열하려는 것이 아니다. 여기서 말하려는 영화들은 지금 뉴욕이나 파리, 런던, 동경에서 이른바 영화 커뮤니티 안의 보통의 지식인들과 시네필들, 그리고 진지한 영화잡지들이 매년 연말이면 그들의 베스트 목록에 올리는 영화들이다. 물론 당신은 다른 도시들을 떠올릴 수도 있다. 하지만 내가 알고 있는 한 이 도시들에는 어떤 다른 도시에서보다 영화문화에 대해서 가장 관대하며 충분히 존경을 품고 다양한 동시대의 영화들을 어떤 편견 없이 소개하려는 수많은 영화관들이 존재한다. (후략)
카테고리 보관물: news
[기사]『부산광역시 대표블로그』2011.04.20. 시네필의 영원한 우상 영화평론가 정성일
[ 부산광역시 대표블로그 > 부산 인(in)데이/시선집중, 이 사람 ]
[ 시네필의 영원한 우상 영화평론가 정성일 (링크) ] 2011/04/20 08:07
<정은임의 FM영화음악>이라는 라디오 프로그램이 있었습니다. 대개 라디오프로그램에 열혈 추종자들이 있게 마련이듯, 이 프로그램도 그랬습니다. 정은임(아름다운 그녀는 2004년 불의의 교통사고로 사망했습니다.) 아나운서를 사랑했던 이들 덕분이기도 했지만 게스트로 출연한 ‘얼굴 없는 평론가’ 정성일을 기다린 이들이 무척이나 많았습니다. 그는 정말 ‘최강 달변’이었습니다. 그리고 ‘아! 이렇게도 영화를 볼 수 있구나!’를 알게 해준, 아니 눈 뜨게 해 준 구원자였습니다.
정성일은 누가 뭐래도 대한민국 최고 영화평론갑니다. 한 시대를 풍미한 영화잡지 <로드쇼>와 <키노>가 그의 눈과 손을 거쳤고 그의 영화보기는 지난 20년간 수많은 지면을 도배했고, 지금도 그렇습니다.
부산에는 자주 오느냐는 질문부터 시작했습니다. 시네마테크 부산에서 진행하는 특별프로그램 게스트로 참여하는 일이 있고 또 부산국제영화제에도 참여하기 때문에 보통 6개월에 한 번 정도는 내려온다고 합니다. 그런데 불쑥불쑥 높은 건물이 솟는 모습이 무척 당혹스럽다고……하지만 바다가 있어 부산은 늘 가슴 설레게 하는 곳이랍니다. (후략)
[ Badatv.com > 줌in부산 > 영화&부산 ]
+ 2011.05.17. 행복한 영화광 영화평론가 정성일 (링크)
[대화]『씨네21』2011.04.25. CGV 무비꼴라쥬와 함께하는〈씨네21〉영화토크쇼 -〈영화, 열정을 말하다〉
CGV 무비꼴라쥬와 함께하는 <씨네21> 영화토크쇼
<영화, 열정을 말하다> (이벤트 페이지 링크)
2010년 최고의 화제를 몰고 왔던 작품의 배우와 감독을 만나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그들의 진솔한 이야기에 독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정성일 감독 ]
– 2010년 4월 25일(월) 20:00
– 진행 : 영화평론가 허문영
– 초대인원 : 45명(1인2매)
[ 신청 안내 ]
– 무료관람 | 선착순 마감 | 1인당 2개 신청 가능
– 정기구독자 신청 : 4월14일(목) ~ 4월20일(수)
– 정기구독자 및 일반회원 신청 : 4월21일(목) ~ 4월26일(화)
[ 토크쇼 안내 ]
– 주요 프로그램
① 출연진소개
② 작품 하이라이트 상영
③ 토크쇼
④ 관객과의 대화
⑤ 사인 및 추첨이벤트 등
– 장소 : CGV 상암
* 토크쇼 1시간 전부터 티켓을 교부해드리며, 선착순으로 자리를 배정해 드립니다.
[기사]『씨네21』2011.04.19.800호. [Special] 씨네산책8-정성일과 허문영,〈설국열차〉준비 중인 봉준호 감독을 만나다
NO.800 2011.04.19 ~ 04.26
[Special] 씨네산책8-정성일과 허문영, <설국열차> 준비 중인 봉준호 감독을 만나다
봉준호가 차기작 <설국열차>의 시나리오를 끝냈다. 할리우드 스타들의 출연설과 예산, 규모에 대한 무성한 소문들. <설국열차>는 과연 어떤 영화가 될까. 영화평론가 정성일과 허문영이 봉준호의 차기작 <설국열차>와 그의 행보를 밀도있게 파고 들었다 (800호 미리보기 링크)
[기사]『맥스무비』2011.03.30. [전문가칼럼] 정성일의 영화순정고백담 – 여섯 번째 이야기
[전문가칼럼] 정성일의 영화순정고백담 (여섯 번째 이야기) [맥스무비=정성일(영화평론가/영화감독)] 얼마 전 <두만강>에 관한 관객과의 대화를 하는 자리에서 시작하자마자 장률로부터 생각지 않은 질문을 받았다. 갑자기 그는 내게 트위터를 하느냐고 물어본 다음 “<카페 느와르>에 대해서는 열심히 멘션을 달지 않았습니까? <두만강>에 대해서도 소개를 해 주십시요”라고 말했다. 물론 객석이 너무 긴장되어있었기 때문에 시작한 농담이었다. 그는 자신이 한국어가 불편하기 때문에 재빨리 농담을 한 다음 자리를 편하게 만드는 기술이 있다. 장률은 일제 강점하에 부모가 중국 옌벤으로 이주를 했고, 그래서 거기서 태어나서 거기서 자랐다. 내가 2006년에 그의 두 번째 영화 <망종>에 관해서 인터뷰를 하기 위해 만났을 때만 해도 둘 사이에는 중국어 통역이 필요했었다. 그는 한국어를 빨리 배웠다. 하지만 지금도 한글을 읽지는 못한다. 지금도 종종 관객과의 대화를 하다가도 내게 귓속말로 질문 중의 어떤 단어에 대해서 무슨 뜻이냐고 물어보곤 한다. (후략) |
[기사]『씨네21』2011.03.29.797호. [Feature] 씨네산책7 장선우 감독
NO.797 2011.03.29 ~ 04.05
[Feature] 씨네산책7 장선우 감독
장선우는 누구인가. 씨네산책의 진행자 허문영, 정성일 평론가는 묻는다.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이 흥행에서 참패하고 두편의 영화 제작이 중단되면서 6년째 제주도에서 은거 중인 장선우 감독을 두 평론가가 만났다. (797호 미리보기 링크)
[기사]『맥스무비』2011.03.23. [전문가칼럼] 정성일의 영화순정고백담 – 다섯 번째 이야기
[전문가칼럼] 정성일의 영화순정고백담 (다섯 번째 이야기) [맥스무비=정성일(영화평론가/영화감독)] 우연의 일치이겠지만 임권택의 <달빛 길어 올리기>와 장률의 <두만강>이 같은 날 개봉했다. 물론 두 영화 사이에는 아무 관계도 없다. 두 사람 사이에도 영화감독이라는 사실 말고는 거의 공통점이 없다. 한 사람은 전라남도 장성에서 태어난 다음 일제 강점 하에 자라나서 해방 전후에 십대를 보냈다. 그 자신의 부모가 한국전쟁 당시 빨치산 활동을 하면서 휴전 이후 고향을 떠났다. 충무로에 갔고 거기서 26살에 첫 번째 영화 <두만강아 잘 있거라>를 찍었다. 그런 다음 우여곡절을 거치면서 스스로 한국영화의 거장의 자리에 갔다. 봉준호는 임권택의 일백 번째 영화 <천년학>에 헌사를 바치는 자리에서 “감독님 앞에 서면 저는 영화감독이라고 사칭하고 다니는 자라고 느껴질 만큼 작게 보입니다. 감사합니다”라고 말했다. (후략) |
[기사]『씨네21』2011.03.15.795호. [씨네산책] 장률과〈두만강〉
NO.795 2011.03.15 ~ 03.22
[special] 장률과 <두만강>
탈북자 소년과 조선족 소년의 만남을 이야기하는 <두만강>은 조선족 출신 장률 감독의 오래된 프로젝트다. <두만강>을 중심에 두고 쓴 작품론과 감독론 그리고 씨네산책의 정성일, 허문영 평론가가 장률 감독을 만나 나눈 긴 대화를 함께 싣는다. (795호 미리보기 링크)
[강의]『서대문문화원』2011.3월-12월. 영화평론가 정성일과 함께하는 영화산책
[ 서대문문화원 홈페이지 > 행사마당 > 영화산책 공지링크 ] + [서대문구 블로그 TONG] 2011.03.29. 시민기자단 칼럼 + [서대문문화원] 자료마당 : 1회강좌내용, 2회강좌내용, 3회강좌내용, 4회강좌내용, 5회강좌내용, 6회강좌내용, 7회강좌내용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영화평론가이자 영화감독인 정성일과 함께 합니다. 영화산책 강의는 문화회원으로 가입하시면 별도의 수강료 없이 수강가능합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문화원 사무실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연락처 : 02-3217-1592~3) (문화회원 : 연회비 5만원을 납부하시면 문화회원(정회원, 특별회원)이 되시며, 문화원의 각종 행사에 참가 시 20%의 할인혜택을 받게 됩니다. 또한 매년 발행되는 문화원 소식지를 보내 드립니다.) [강의의 개요] [강의의 방법] [강의의 내용] [강의순서] [강의시간 및 장소] 제 1강 : 3월24일(목) 오후 7시 |
[강의]『시네마테크부산』2011.04.08. 영화평론가 정성일 특강 ‘잉그리드 버그만 3부작에 관하여’
세계영화사의 위대한 유산-월드시네마 VIII (시네마테크부산 상영프로그램 링크) *특별 해설 프로그램* – 내용_ 상영 후 영화 해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