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V명동역에서 7/6(금) 저녁7시30분 유지영, 정가영, 김태진 감독이 참여한 옴니버스 장편 〈너와 극장에서〉 상영 후 유지영 감독, 김예은 배우가 참석하고 정성일 평론가가 진행하는 GV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 2018.07.12. 서울독립영화제 네이버 포스트 녹취록 공개
+. 녹취록은 Twitter로 ‘밤의 등대‘님이 제보해주신 자료입니다.
CGV명동역에서 7/6(금) 저녁7시30분 유지영, 정가영, 김태진 감독이 참여한 옴니버스 장편 〈너와 극장에서〉 상영 후 유지영 감독, 김예은 배우가 참석하고 정성일 평론가가 진행하는 GV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 2018.07.12. 서울독립영화제 네이버 포스트 녹취록 공개
+. 녹취록은 Twitter로 ‘밤의 등대‘님이 제보해주신 자료입니다.
에드워드 양 감독의 〈고령가 소년 살인사건〉 블루레이가 OST합본으로 7/27(금) 발매될 예정입니다. 해당 합본에는 정성일 영화평론가의 전편 음성해설과 32페이지의 북클릿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CGV명동역에서 6/28(목) 저녁7시 아녜스 바르다, 제이알 감독의 〈바르다가 사랑한 얼굴들〉 상영 후 라이브러리톡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 Twitter로 ‘밤의 등대‘님이 제보해주신 자료입니다.
CGV명동역에서 6/23(토) 오전10시30분 에드워드 양 감독의 〈고령가 소년 살인사건〉과 〈하나 그리고 둘〉 상영 후 GV가 포함된 ‘All Day with Edward Yang’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아시아나항공에서 월간으로 배포되는 기내지인 “ASIANA culture, style, view” 2018.6월호에는 “패딩턴 그리고 런던” 기사가 게재되었습니다.
해당 기내지는 아래 링크의 설명을 통해 Android, iOS 모바일 기기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http://flyasiana.com/CW/ko/common/pageContent.do?pageId=PC_00002140
movie and the city
패딩턴 그리고 런던
런던에 어학연수를 간다는 학생에게 런던에 친척이 있느냐고 묻자 홈스테이를 할 예정이라고 대답했다. ‘런던에서 홈스테이라니, 맙소사!’ 하는 심정으로 <패딩턴>이라는 영화를 떠올렸다. 나는 지금 그 학생을 떠올리면서 이 글을 쓰고 있다. 어쩌면 그 학생이 비행기를 타고 가면서 이 글을 읽을지도 모르겠다. 글.정성일
이번 여름에 유럽을 여행하겠다는 사람을 많이 만났다. 내 수업을 듣는 학생 중에도 몇 명 있었다. 어디를 여행할 생각이냐고 물었다. 여러 도시 이름이 나왔지만 그중 한 명만 런던이라고 말했다. 무얼 볼 생각이냐고 묻자 약간 우울한 목소리로 어학연수를 간다고 대답했다. 누군가는 약간 당연하다는 듯이 “런던은 물가가 너무 비싸요”라고 덧붙였다. 그 말에 완전히 동의한다. 런던은 무언가를 사기에 두려운 도시이다. (후략)
격월로 발행하는 미스터리 전문 매거진 「미스테리아」 18호 에서는 ‘‘빈칸’의 보충과 전염의 과정, <마인드헌터>(2)’ 라는 글이 게재되었습니다.
[ 출판사 제공 책소개 ] (알라딘 링크)
(전략) 영화감독이자 영화 평론가 정성일의 특별한 연재 ‘SESSION’에서는 넷플릭스의 드라마 <마인드헌터>를 두 번째로 살펴본다. 드라마 오프닝 혹은 엔딩에서 별다른 설명 없이 출몰하곤 했던 수수께끼 같은 남자의 정체에 대해, 드라마 내에서는 이름이 아직 밝혀지지 않은 악명 높은 실제 연쇄살인범에 대해 이 드라마가 취하는 시선의 방향을 흥미롭게 기술하였다. (후략)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6/8(금) 오후8시 세르쥬 보종 감독의 〈미세스 하이드〉 상영 후 필름소사이어티 토크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메가박스 이벤트 페이지 링크)
+. Twitter로 ‘밤의 등대‘님이 제보해주신 자료입니다.
2018.05.18. 블루레이 리뷰 | 베티 블루 37.2 무삭제 감독판 (기사링크)
미친 사랑, 베티 블루
<베티 블루>를 말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황을 설명해야 할 것 같다. 누군가에는 추억에 남아있는 영화, 누군가에는 문득 떠오르는 영화. 하지만 21세기에 아무도 이 영화를 고전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없다. 그럼에도 <베티 블루>는 하나의 획을 그은 시대, 걷잡을 수 없는 전염처럼 번져간 하나의 영향, 하나의 부정할 수 없는 유행, 영화사 속에서 정확하게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하나의 소란의 중심에 있는 영화들 중의 하나인 것만 분명하다.
좀 더 장황하게 설명하고 싶다. 하나의 경향이 폭발할 때가 있다. 그때는 마치 그 패션이 세상의 전부인 것처럼 여겨지지만 언제나 그런 것처럼 순식간에 지나가버리고 나면 어리둥절할 정도로 텅 빈 진공상태와 마주하게 된다. 1980년대 영화의 대부분은 이상할 정도로 그 시간 속에서 견뎌내지 못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전통을 조롱했으며 작가주의를 살해했고 서사의 자리에 패러디와 혼성모방의 전술로 모든 것을 뒤죽박죽으로 만들었다. 처음에는 문학이 여기에 깃발을 들었고 그런 다음 철학이 가세했으며 영화는 새로운 미학인 것처럼 사태를 오해하였다. (후략)
+. 6/26. 알토미디어 공식블로그 녹취록 링크
씨네큐브에서 5/24(목) 오후7시30분 오피르 라울 그라이저 감독의 〈케이크메이커〉 시사회 후 GV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 일반 유료 예매도 오픈되었습니다. (Twitter로 ‘밤의 등대‘님이 제보해주셨습니다.)
🍰🍪🎂🥧☕🍩<케이크메이커> 씨네토크 개최!💖💘
씨네큐브에서 정성일 평론가와 함께하는 영화 <케이크메이커> 씨네토크를 개최합니다.
관객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일시: 5/24(목) 19:30
-장소: 씨네큐브 1관
-참석: 정성일 평론가#씨네큐브 #케이크메이커 #정성일평론가 pic.twitter.com/K9NJCCmYQ2— 🎬 씨네큐브 cinecube (@icinecube) 2018년 5월 2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