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 『CGV명동역』 2018.04.13. 클레어 드니 〈렛 더 선샤인 인〉 상영 후 라이브러리톡

CGV명동역에서 4/13(금) 오후7시 클레어 드니 감독의 〈렛 더 선샤인 인〉 상영 후 라이브러리톡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 2018.04.19. 씨네룩스. 공식 네이버 포스트. 녹취록 공개

카테고리: news

[기사] 『ASIANA』 2018.04. 여정 그리고 베네치아

아시아나항공에서 월간으로 배포되는 기내지인 “ASIANA culture, style, view” 2018.4월호에는 “여정 그리고 베네치아” 기사가 게재되었습니다.

해당 기내지는 아래 링크의 설명을 통해 Android, iOS 모바일 기기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http://flyasiana.com/CW/ko/common/pageContent.do?pageId=PC_00002140


movie and the city
여정 그리고 베네치아

세상에는 하나 마나 한 소리가 있다. 그런 것 중 하나가 ‘베네치아는 아름답다’는 말이다. 그건 가보지 않은 사람도 할 수 있는 말이다. 거기에 이 말을 보태고 싶다. ‘가보니까 정말 아름답더라!’ 나는 20세기에 베네치아를 보지 못했다. 내가 이 물의 도시, 아니 정확하게는 바다 위에 떠 있는 도시를 처음 가본 것은 21세기의 첫해였다. 이후 이러저러한 이유로 세 번을 더 갔다. 역시 누구나 하는 말이지만, 베네치아에 간다는 것은 지리적인 여행이 아니다. 이상하게 나는 매번 밤늦게 베네치아에 도착했다. (후략)

카테고리: news

[강의] 『흥사단』 2018.04.21. 민주피아 강사양성 과정 중 ‘씨네마 앤 토크 : 플로리다 프로젝트’

[ 흥사단 > 알림마당 > 공지사항 ]
– 2018.03.15. [교육] ‘2018 민주피아 강사양성과정’ 안내 (공지사항 링크)

흥사단 교육운동본부에서 진행하는 ‘2018 민주피아 강사 양성 과정’ 중 4/21(토) 3주차 강의에 ‘씨네마 앤 토크 : 플로리다 프로젝트’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 facebook으로 이윤미님이 알려주신 자료입니다.

카테고리: news

[기사] 『KMDb』 2018.03.27. [임권택x102] 30년만의 대결 (1971)

[ KMDb > 영화글 > 기획연재 > 임권택x102 ]

30년만의 대결 (1971)
정성일(영화평론가/감독) / 2018-03-27 (기사링크)

좋아하는 영화감독의 명단이 궁금합니다. 이건 영화감독을 만났을 때 꺼내 들기 가장 어려운 질문 중의 하나이다. 이 질문 속에는 취향의 지평을 지나쳐가는 질문 안의 질문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정보, 지식, 체험, 감흥, (미적인, 혹은 정치적인, 때로 은밀하게 사적인) 판단, 무엇보다도 수용의 태도. 영화비평가들은 이런 질문을 받아들면 대부분 약간 젠체하면서 새침하고 교활하게 균형을 맞춰가면서 개인적인 척하는 공식적인 대답을 한다. 그런데 감독들은 이 질문 앞에서 이제까지의 자신의 작업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그들의 영화를 잘 알고 있는 이들에게 종종 모순을 일으키거나 혹은 일시적인 행동처럼 보이거나 아니면 때로 심술궂어 보이는 것만 같은 전혀 생각하지도 않은 명단을 꺼내 들면서 개인적인 대답을 한다. (후략)

카테고리: news

[기사] 『미스테리아』 2018.03.30.17호. 연쇄살인범과의 ‘면담’이라는 장치, 〈마인드헌터〉(1)

격월로 발행하는 미스터리 전문 매거진 「미스테리아」 17호 에서는 ‘연쇄살인범과의 ‘면담’이라는 장치, 〈마인드헌터〉(1)’ 라는 글이 게재되었습니다.

[ 출판사 제공 책소개 ] (알라딘 링크)

(전략) 《미스테리아》 17호에선 ‘논픽션’에 대해 생각한다. 훌륭한 논픽션은 실제 사건을 독자들에게 전달할 때, 그 안에서의 ‘내러티브’를 끄집어내어 정교하게 구조화시킴으로써 사건의 전후와 내외에 감춰져 있던 수많은 디테일과 의미를 사유하게 만든다. 이번 특집에선 국민들을 공포로 몰아넣은 국가적 재난 상황부터 유명한 애니메이션 프로듀서의 ‘광기’, 단지 여성이기 때문에 겪어야 했던 참혹한 비극, 독재국가에서 철저하게 이용당하고 버려진 사람들 등 다양한 주제의 ‘범죄’가 논픽션 속에서 어떻게 다뤄지는지 소개한다. 또한 ‘실화 기획사’ 팩트스토리의 고나무 대표가 한국에서의 내러티브 논픽션의 생산 구조를 고민하고 모색하는 과정에 대한 특별한 글을 보내왔다. 논픽션 시장, 혹은 실화 시장이 미국이나 일본처럼 활성화되지 않은 한국에서 여전히 새롭게 발굴되고 재해석되어야 할 사건들은 너무나 많다.
아울러 범죄 논픽션의 대표작 『마인드헌터』를 극화한 넷플리스의 동명 드라마에 대해서도 꼼꼼하게 살핀다. 영화감독이자 영화 평론가 정성일이 이번 호부터 새롭게 시작되는 연재 ‘SESSION’에서, 연쇄살인범의 정신 속으로 들어간다는 위험한 시도가 ‘면담’이라는 장치를 통해, 또한 텔레비전이라는 매체를 통해 어떤 식으로 재현되는가에 대해 쓴다. (후략)

카테고리: news

[강의] 『한겨레 영화학교』 2018.04.18.-10.24. 21세기 감독전 – 허우샤오시엔, 지아 장커, 미카엘 하네케,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차이밍량

한겨레 영화학교에서 4/11~10/17까지 “21세기 감독전” 이라는 이름으로 여러 강사진이 함께 유료강의를 진행합니다.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강. 4/11. 오동진. [오픈특강1] 드니 빌뇌브
  • 2강. 4/18. 정성일. 허우샤오시엔
  • 3강. 4/25. 모은영. 웨스 앤더슨
  • 4강. 5/2. 오동진. 폴 토마스 앤더슨
  • 5강. 5/9. 모은영. 켄 로치
  • 6강. 5/16. 정성일. 지아 장커
  • 7강. 5/23. 강상욱. 신카이 마코토
  • 8강. 6/12. 임필성. [오픈특강2] 크리스토퍼 놀란
  • 9강. 6/20. 정성일. 미카엘 하네케
  • 10강. 6/27. 모은영. 캐서린 비글로우
  • 11강. 7/4. 오동진. 데이빗 핀처
  • 12강. 7/11. 정성일.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 13강. 7/25. 모은영. 토드 헤인즈
  • 14강. 8/1. 오동진. 테렌스 맬릭
  • 15강. 8/29. 모은영. 구로사와 기요시
  • 16강. 9/5. 이화정. 고레에다 히로카즈
  • 17강. 9/12. 오동진. 대런 아르노프스키
  • 18강. 9/19. 모은영. 유아사 마사아키
  • 19강. 10/10. 정윤철. 이안
  • 20강. 10/17. 오동진.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 21강. 10/24. 정성일. [오픈특강4] 차이밍량

+. 수강신청 페이지 : [1~21강] [1~7강] [8~14강] [15~21강]

카테고리: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