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DOCKING』 2017.가을. 기억과 싸우며 다시 시작하는 영화 〈공동정범〉에 대한 몇 가지 질문들

[ DOKING > 2017 가을 Vol.7 > Critics’Choice ]

기억과 싸우며 다시 시작하는 영화
<공동정범>에 대한 몇 가지 질문들 (기사링크)

한 편의 영화로써 독립 다큐멘터리에 대한 비평이 쉽지 않은 이유는 독립 다큐멘터리가 다루는 주제의 무게 때문이다. 주제가 첨예한 정치, 사회적 의미를 가지고 있고, 그 무게가 무거울수록 비평은 조심스러워지고 해당 영화의 미학적 선택에 대한 논의 자체를 망설이게 하곤 한다. 그러나 영화 비평은 영화에 대해 질문하는 것이고, 영화가 보여준 서사적, 미학적 방법론에 대해 분석하여 지지하거나 비판하는 것이다. 김일란, 이혁상 감독의 <공동정범>은 최근 독립 다큐멘터리 중에서 단연 돋보이는 보편성과 영화적 성취를 이루었다고 보여지며 따라서 이 작품에 대한 ‘영화’로서의 비평글은 유의미하다 할 것이다. 정성일 평론가는 <공동정범>이 다루고 있는 현실의 무게를 감당하며 이 다큐멘터리 ‘영화’에 대한 꼼꼼한 장문의 비평을 보내주었다. 독립 다큐멘터리도 선택된 쇼트와 편집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영화라는 사실을 재환기시키는 이 글은 치열하게 기억과 싸우며 망각하지 말 것을 요구하는 <공동정범>의 영화적 선택에 대해 던지는 신중하고 의미있는 질문이다. 현재 여러 영화제를 통해 상영되고 있는 <공동정범>은 2018년 1월 극장 개봉을 준비하고 있다.

형법 30조. 2인 이상의 책임능력이 있는 자가 서로 공동으로 죄가 될 사실을 실현하고,그것에 참가 공력한 정도의 여하를 불문하고 전원을 정범자(교사범도 아니고 종범자도 아닌 주범인)로서 처벌한다는 것으로 이를 공동정범(共同正犯)이라 한다. 김일란과 이혁상이 공동 연출한 다큐멘터리 <공동정범>은 김일란과 홍지유가 공동 연출한 <두개의 문>의 후일담이라고 할 수도 있고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우리는 후일담이라는 말을 쓸 때 조심해야 한다. 누군가에게 끝난 일이 누군가에는 지금도 진행 중일 때 구경하는 자들은 너무 쉽게 이후, 의 이야기를 그런 다음, 이라고 말하고 싶어 한다. 하지만 그때는 견딘 자들이 그런 다음, 을 견디지 못하는 것을 알고 있다. 나는 여기서 트라우마, 라는 우스꽝스러운 표현을 써서 그 고통을 정신분석의 대상으로 만들고 싶지 않다. 생명은 경험 속에서 얼마나 강인하며, 생명은 기억 속에서 얼마나 연약한가. 물론 이 두 편의 영화는 2009년 1월 20일 용산 4구역 재개발 보상대책을 둘러싸고 철거민과 전국 철거민 연합회원들이 용산구 한강로 2가 남일당 건물을 점거 농성하면서 경찰과 충돌하였고 그로 인해 벌어진 ‘용산 참사’ 사건을 공유하고 있다. (후략)

카테고리: news

[기사] 『ASIANA』 2017.12. 윈터 슬립 그리고 카파도키아

아시아나항공에서 월간으로 배포되는 기내지인 “ASIANA culture, style, view” 2017.12월호에는 “윈터 슬립 그리고 카파도키아” 기사가 게재되었습니다.

해당 기내지는 아래 링크의 설명을 통해 Android, iOS 모바일 기기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http://flyasiana.com/CW/ko/common/pageContent.do?pageId=PC_00002140


movie and the city
윈터 슬립 그리고 카파도키아

내가 많은 곳을 여행한 것은 아니지만 영화에 관한 일을 하면서 때로는 초청을 받고 대부분은 일 때문에 이런저런 도시를 방문했다. 그러면서 낯선 영화제에서 저녁이면 지구사방에 흩어져 지내던 동료들을 만나 서로 영화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고 나서 ‘이제 퇴근’이라는 기분으로 영화 이야기를 접고 수다삼매경에 접어든다. 그때 종종 화제의 중심이 되는 소재는 다녀본 도시들이다. 그때마다 나를 좌절시키는 순간은 누군가 “역시 터키는…”이라는 말을 꺼냈을 때다. (후략)

카테고리: news

[대화] 『한국영상자료원』 2017.12.29. 왕 빙 〈미세스 팡〉 상영 후 강연

[ 한국영상자료원 > 시네마테크KOFA > 프로그램 > 현재/예정 프로그램 ]

한국영상자료원 KMDb는 2014년부터 국내 영화제 프로그래머 및 기자, 평론가들이 각각 동시대 영화 10편을 선정하는 ‘사사로운 영화 리스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사사로운’이라는 형용사가 자칫 편향적으로 들릴 수도 있겠지만, 사실 영화라는 것이 개인적인 취향이 가장 많이 반영되는 즐길거리가 아니겠는가. 그래서 한 해가 저물 무렵이 되면 온라인 카페와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등에서 자신이 그 해에 본 영화 중 최고작을 뽑고, 또 그 리스트를 공유하며 서로 이야기를 나누는 풍경을 흔히 볼 수 있다.

‘2017 사사로운 영화 리스트’는 국내 영화제 프로그래머 및 기자, 평론가로 구성된 선정 위원 20인이 2016년 11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전 세계 기준 일반 개봉작 및 영화제 상영작, 최초 상영작 등을 대상으로 사사로운 마음을 담아 애정 하는 영화 10편을 선정하고, 그중에서 애정 지수가 높은 작품을 선별해 상영한다. 나의 ‘2017 사사로운 영화 리스트’와 얼마나 비슷한지 혹은 내가 놓친 작품은 없는지 비교해보며 보는 재미가 쏠쏠하리라 생각된다. 영화를 사랑하는 사람에게 이보다 더 행복한 연말 선물이 또 있으랴.

  • 일시: 2017년 12월 14일(목) ~ 31일(일)
  • 장소: 시네마테크KOFA 1,2관
  • 부대행사
    • 12월 17일(일) 17시 <로우> 상영 후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김봉석, 모은영 프로그래머 대담
    • 12월 22일(금) 19시 <어떤 여인들> 상영 후 신은실 EIDF 프로그래머, 장영엽 씨네21 기자 대담
    • 12월 23일(토) 14시 <희망의 건너편> 상영 후 김성욱 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램 디렉터 강연
    • 12월 23일(토) 18시 <오늘밤 사자는 잠든다> 상영 후 스와 노부히로 감독, 허문영 영화평론가 대담
    • 12월 28일(목) 19시 <스푸어> 상영 후 박진형 부산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 조혜영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프로그래머 대담
    • 12월 29일(금) 19시 <미세스 팡> 상영 후 정성일 영화평론가 강연

+. Twitter로 ‘밤의 등대‘님이 제보해주신 자료입니다.

카테고리: news

[기사] 『KMDb』 2017.12.05. 2017년 사사로운 영화리스트의 영화들에 대하여 (,)

[ KMDb영화글 > 리뷰 > 사사로운영화리스트 ]

2017.12.05. 2017년 사사로운 영화리스트의 영화들에 대하여 (,) (기사링크)

1.
(… 그리고 계속) 이렇게 시작할 수밖에 없다. 전혀 의도했던 것은 아닌데 작년에 나는 이 지면에서 장-피에르 레오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아마 영화에 관심이 있다면 누구라도 자기의 방식으로 장-피에르 레오의 영화를 본 기억을 갖고 있을 것이다. 프랑수아 트뤼포의 첫 번째 영화에 14살의 나이에 출연한 소년. 앙뜨완 드와넬이 마지막 장면에서 바다를 달려가다 말고 문득 멈춰 서서 우리를 바라볼 때 그 하나의 쇼트는 영화사의 사건이 되었다. 다섯 편의 앙트완 드와넬. 그 곁에는 장-뤽 고다르와 함께 68년 5월을 기다리면서 파리를 서성거리는 청년 장-피에르 레오가 있다. 혁명에의 예감. (후략)

카테고리: news

[책] 우딴루, 『고령가 소년 살인사건』, 북로그컴퍼니, 2017.12.07. 〈언젠가 당신의 고전 열 편에 들고야 말 걸작, 혹은 이미 그런 까닭〉 평론 수록

12/7 발간 예정인 『고령가 소년 살인사건』 소설에 〈언젠가 당신의 고전 열 편에 들고야 말 걸작, 혹은 이미 그런 까닭〉 평론이 수록될 예정입니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알라딘 링크)

(중략) 이 소설은 1991년 대만에서 영화가 개봉될 때 동시 출간된 작품으로, 대만의 유명 작가이자 방송인인 우딴루가 에드워드 양의 시나리오와 실제 대만에서 벌어졌던 소년 살인사건을 취재해 쓴 것이다. 따라서 스토리 흐름은 그대로 살리면서도 4시간이라는 긴 러닝타임에 다 담아내지 못한 소년과 소녀의 이야기를 더 깊이 있게 그려냈다. 책에는 4K 디지털 리마스터링으로 복구한 완벽한 화질의 스틸 컷이 풍부하게 실려 있어, 영화가 담고 있는 감수성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또한 정성일 영화평론가의 깊이 있는 평론 <언젠가 당신의 고전 열 편에 들고야 말 걸작, 혹은 이미 그런 까닭>은 영화 팬들에게 특히 의미 있는 선물이 될 것이다.

카테고리: news

[대화] 『라이나전성기재단』 2017.12.20. [전성기 인문학당] 언젠가 세상은 영화가 될 것이다

[ 라이나전성기재단 > 재단 소식 > 사업후기 ]

[전성기인문학당] 조창인 소설가가 전하는 문학, 글쓰기 이야기 시간 (게시글 마지막에 11월-12월 강의 포스터 게재) (게시글 링크)

  • 전성기 인문학당 “정성일 영화평론가 – 언젠가 세상은 영화가 될 것이다”
    • 일자 : 2017.12.20(수) AM 12:00 – PM 01:00
    • 신청방법 : 지하 1층 캠퍼스 회원가입 및 현장 접수
    • 전성기캠퍼스 이메일 문의 : campus@cignakorea.co.kr
    • 강의장소 : 시그나타워 지하 소극장 / 참석 시 런치세트와 음료 제공
    • 문의전화 : 02-6333-1900
카테고리: news

[대화] 『흥사단』 2017.11.30. [영화관으로 간 민주피아] 켄 로치 〈나, 다니엘 블레이크〉 상영 후 강의

[ 흥사단 > 알림마당 > 공지사항 ]

[교육] 영화관으로 간 민주피아 WITH 영화평론가 정성일 – 나, 다니엘 블레이크 (공지사항 링크)

  • 일정 : 2017년 11월 30일(목) 19:00 (영화를 함께 보고 싶은 분들은 17:00까지 오시면 됩니다)
  • 장소 : 흥사단 3층 강당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122)
  • 대상 : 영화를 사랑하는 누구나
  • 비용 : 1만원(흥사단 교육운동본부 회원 30% 할인) 국민은행 031601 04 150629 (사)흥사단(교육운동)
  • 신청 : 사전 구글 온라인 신청 (https://goo.gl/forms/zhawkMRMO3iQU2x12)
  • 문의 : 흥사단 교육운동본부 사무처 Tel. 02-741-2013, 이윤미 차장

+. facebook 으로 이윤미님이 알려주신 자료입니다.

카테고리: news

[대화] 『영화의전당』 2017.12.02. 마누엘 데 올리베이라 〈토킹 픽처〉 상영 후 특별강연

[ 영화의전당 > 공지사항 ]

[시네마테크] ‘마누엘 드 올리베이라 회고전’ – 정성일 평론가 특별강연 (공지링크)

2015년 107세로 영면하기까지 영화적 도전을 멈추지 않았던 포르투갈 영화의 전설적인 거장 ‘올리베이라’ 그의 작품 세계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성일 영화평론가의 특별강연이 마련됩니다. 올리베이라가 쓴 문명에 대한 명상극 <토킹 픽쳐> 상영 후, 강연이 개최됩니다. 관객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일시 : 12월 2일(토) 18:30
  • 상영작 : <토킹 픽처>
  • 강연 : 정성일 영화평론가

+. facebook으로 박준휘님이 제보해주신 자료입니다.

카테고리: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