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KMDB』2014.10.31. 신세 좀 지자구요(1969)

KMDB > 영화글 > 임권택x101 ]


신세 좀 지자구요 Sorry to Give You Trouble
글: 정성일(영화평론가) / 2014-10-31  (
기사링크)

이래도 괜찮은 것일까, 라는 염려가 먼저 들 때가 있다. 치코, 하포, 그루초 마르크스 삼형제의 난동극에 가까운 <오페라의 밤>을 처음 보았을 때는 어리둥절할 지경이었다. 부글부글 거리더니 점점 넘쳐나기 시작한다. 나중에는 급기야 걷잡을 수 없게 넘쳐날 때 그걸 가로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어디에도 없다. 하스미 시게히코는 마치 햄릿 같은 말투로 기꺼이 찬사를 바쳤다. B급인가, 아방가르드인가, 여기서 영화의 장치들이 고스란히 창자를 내보인다. 하지만 이걸 보고 심미주의를 느끼는 자들만이 천국에 들어설 것이다. 아아, 천국이라니. 착란과도 같은 반란. 유희와도 같은 실험. 하지만 나는 이런 영화들을 너무 빨리 보기 시작했다. 이런 과잉의 영화들의 계보학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자 정말 미친 듯이 찾아보기 시작했다. 만찬의 영화. 그런데 그 만찬은 (롤링 스톤즈의 앨범 제목을 빌려 부르자면) ‘거지들의 만찬’(Beggar’s Banquet)이다. 나는 이 행복한 표현을 긍정의 의미로 사용하는 중이다. (후략)

카테고리: news

[기사]『보보담』2014.가을.14호. 영화로 만나는 괴산 : 길을 잃은 자들이 지나는 길

LS네트웍스 > 사이버홍보실 > 보보담 ]

2014.가을.14호 (2014.10.05) [PDF링크] [아카이브 내 읽기]

 

Walking with a Shot / 영화로 만나는 괴산 (pp.194~199)

– 길을 잃은 자들이 지나는 길

: 이 길은 어디로 이어지나요? 문경새재로 오르는 고갯길에 발길을 들이밀면 누구라도 그런 질문을 한 번쯤 해보았을 것입니다. 저도 그 길을 가본 적이 있습니다. 참 이상한 길입니다. 거기서는 금방이라도 길을 잃어버릴 것만 같습니다. 물길처럼 이리저리 갈라진 길들. 영화가 그런 곳을 찾아갈 때에는 단지 그 길의 이미지 때문만은 아닙니다. (후략)

카테고리: news

[기사]『KMDB』2014.09.30. 주인공들이 너무 가여워요 – 봉준호, 임권택을 생각하(면서 자기 영화들을 돌아보)다②

KMDB > 영화글 > 임권택x101 ]


주인공들이 너무 가여워요 – 봉준호, 임권택을 생각하(면서 자기 영화들을 돌아보)다 ②
글: 정성일(영화평론가) / 2014-09-30  (
기사링크)

정성일_ 작년 부산영화제 회고전에서 <아제아제 바라아제>를 선택한 이유는 심금을 울렸습니다. 아직도 첫사랑을 생각하다니!! (웃음) 

봉준호_ 첫사랑은 아니고 두 번째 여자죠. 석 달 만나고 헤어진, 그런데 지금은 어디서 뭘 하려나.(웃음) 

정성일_ <아제아제 바라아제>를 떠올리면 조건반사적으로 떠오르는 장면은 무엇입니까?

봉준호_ 두 개가 있어요. 강수연 선배가 (비구니가 되었다가 환속하면서 머물던 산사를 떠나서 속세로 향하다가) 버스에서 내려서 산을 향해 우는 장면과 한지일 선배와 처음 섹스 할 때 (아직 삭발한 채로 드러나는 머리를 가리기 위해 쓴 모자가 떨어지려고 하자 그) 모자 쓰려고 할 때 카메라가 올라가는 장면. 저걸 어떻게 찍었을까. 강수연 선배님과 술을 한잔 하면서 물어볼 수 있어 영광이었는데 한 테이크 만에 찍었다고 하시더라고요. 수평에서 시작해서 직부감까지 올라가는. 그 두 개가 생각이 나네요.

정성일_ 그 장면이 왜 그렇게 자신을 잡아 끈 거 같으세요? 이를테면 두 번째 장면은 여러 가지 기술적 효과나 강수연 씨의 연기도 있기 때문에 많은 비평가들이 주목하는 장면입니다. 하지만 제가 궁금한 것은 첫 번째 예로 든 장면입니다. 그 장면은 기술적으로 특별한 점이 없습니다. 그래서 <아제아제 바라아제>를 본 사람들 중에서도 그 장면을 기억해내는 사람은 아주 적습니다. 

봉준호_ 보면서 되게 울컥 하더라구요. <러브레터>를 보면 산을 향해, 오겡끼데스까? 라고 부르는 데, 그거랑 많이 다르죠.(웃음)  (후략)

카테고리: news

[출연]『진중권의 문화다방』2014.09.25.23회. 정성일 1부

[ 창비라디오 진중권의 문화다방 Podcast ]

팟빵(링크)iTunes(링크)

– 23회 방송분 mp3 바로 듣기(링크)

카테고리: news

[대화]『DMZ국제다큐영화제』2014.09.23. 토크D: 라브 디아즈,〈폭풍의 아이들, 1권〉

[ DMZ국제다큐영화제 > 프로그램 > 프로그램세션 > 아티스트 토크/강연 ]

아티스트토크 & 강연 (Artist’s Talk & Lecture)

영화제에 초청된 감독들의 작품세계를 중심으로 한 심도있고 흥미로운 대담형식의 아티스트토크와 영화제의 컨셉과 모티브를 발제로 한 강연 프로그램으로 구성. 올해 새롭게 시작하는 파사주 섹션에서는 파운드 푸티지에 기초한 아티스트 필름들을 소개한다. 캐나다의 영화이론가인 캐서린 러셀, 미국의 다큐멘터리 감독인 빌 모리슨과 한국의 영화/미디어 학자 김지훈이 참석한다. 또한 올해의 마스터즈에서는 영국에서 가장 급진적인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활동한 마크 칼린의 회고전을 가진다. 마크 칼린 리서치 프로젝트의 홀리 에이렛이 참석하여 그의 작품세계를 둘러싼 정치와 영화의 담론을 논하며, 한국의 사회학자 서동진의 강연도 준비한다.

토크D: 라브 디아즈, <폭풍의 아이들, 1권>

– 일시 : 2014년 9월 23일(화) 18:40-19:40

– 참석자 : 라브 디아즈, 정성일(영화평론가, 감독)

– 장소 : 메가박스 킨텍스 Table M관

상영작  <폭풍의 아이들, 1권> 안내 (링크)

카테고리: news

[기사]『KMDB』2014.09.23. 주인공들이 너무 가여워요 – 봉준호, 임권택을 생각하(면서 자기 영화들을 돌아보)다

KMDB > 영화글 > 임권택x101 ]


주인공들이 너무 가여워요 – 봉준호, 임권택을 생각하(면서 자기 영화들을 돌아보)다
글: 정성일(영화평론가) / 2014-09-23  (
기사링크)

이렇게 말을 꺼내들고 싶다. 봉준호는 CJ가 아니다. 그와 똑같은 의미에서 봉준호는 홍상수가 아니다. 어쩌면 이런 표현이 당신을 불편하게 만들지도 모른다. 만일 그렇게 읽었다면 당신은 내 의도를 오해한 것이다. 점점 CJ 영화를 보는 것은 마치 대중적 흥행을 염두에 두고 정교하게 (엉성하게?) 작성된 매뉴얼을 검토하는 일처럼 느껴진다. 홍상수 영화를 보는 일은 이야기를 만든 다음 그게 희미하게 보일 때까지 물러나서 남은 인상만을 가지고 엉성하게 (정교하게?) 그려낸 재빠른 스케치를 약간 아슬아슬하게 보는 것처럼 느껴진다. 봉준호가 영화 제작에 돌입할 때 장르를 다루는 것인지, 매뉴얼을 작성하는 것인지 약간 모호하게 느껴질 때가 있다. 종종 영화 앞에서 그가 만들어놓은 콘티가 영화를 보는 내게는 매뉴얼처럼 보일 때가 있다. 일사불란한 영화적인 기계 기호들의 운동. (<살인의 추억>) 일단 시작되면 멈추지 않을 것만 같은 쇼트들의 접합과 그 안의 변화. (<설국열차>) 그러나 그 도표는 대중적 흥행과 아무 관계가 없다. (<마더>) 이때 그의 매뉴얼은 그 자신의 매우 사적인 영화(歷)사의 (그 자신에게만) 명장면에 관한 다소 기형적인, 어쩌면 그 자신의 표현을 빌리면, 변태적으로 구부러트린 집합처럼 보인다. (<괴물>) 그게 일정한 순열로 놓여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 안에 무언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된 것처럼 보이는 리듬 사이에서 삑사리의 순간들이 섬광처럼 나타날 때마다 이 영화를 하나의 집합으로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라고 질문하고 싶게 만든다. 이상할 정도로 봉준호의 영화는 매번 그 안에 완전히 소속되지 않는 (그래서 여전히 설명하기 까다로운) 분리된 또 하나의 집합이 공존하고 있다. 그것이 둘 사이에서 교집합을 이루고 있지만 그렇게 연쇄망을 이루는 그 고리를 따라 가다보면 어떤 집합들은 중심과 완전히 공집합을 이룬 채 영화 안에서 마치 독립변수처럼 활동하는 쇼트를 만날 때가 있다. 그리고 이 잉여의 공집합은 잘 눈에 띄지 않은 채 조금씩 늘어가고 있다. 이를테면 <마더>에서의 나무. 아마도 21세기 한국영화에서 가장 불길하고 아름다운 나무. 이제 막 살인을 저지른 ‘마더’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저 홀로 서서 마치 우주의 복판에 서 있는 것만 같은 나무. 그 나무를 하나의 점으로 하여 이미지가 회전을 시작할 때 거기서 만들어지는 것은 사건을 기다리는 사건이라는 간접화법의 (미처 닫히지 않은) 원을 그려내는 운동이다.  (후략)

카테고리: news

[강의]『아르코 예술-인문콘서트 오늘』2014.10.02. 우리는 왜 영화를 보는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 공지사항 ]

2014 아르코 예술인문콘서트 오늘

– 제목 : 우리는 왜 영화를 보는가

– 주최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장소 : 예술가의 집 다목적홀

– 시간 : 2014/10/2. 저녁7시 30분

– 참가비 : 무료

– 대상 : 100명 (자유석)

– 신청기간 : 각 프로그램 2주 전 접수 시작

– 신청은 예술가의 집 홈페이지를 통해 받습니다 (artisthouse.arko.or.kr)

– 참가자는 개별 연락(문자메시지)을 드리며 현장에서 본인 확인 후 입장합니다.

– 입장은 선정된 1인에 한하며 현장 접수는 불가하오니 이 점 양해바랍니다.

카테고리: news

[기사]『KMDB』2014.08.26. 아내(1976)

KMDB > 영화글 > 임권택x101 ]

아내 (1976)

글: 정성일(영화평론가) / 2014-08-26  (기사링크)

먼저 상황을 설명해야 할 것이다. 아마 그래야 할 것이다. 1970년 4월 22일 박정희 대통령은 이듬해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전국 지방장관회의에서 ‘새마을 가꾸기 운동’을 제안하였다. 1969년 9월 14일 다시 대통령이 되기 위해서 3선 개헌안을 변칙 통과시킨 다음 7개월 만의 일이다. 그 해는 모든 것이 싸늘하게 얼어붙기 시작했다. 시인 김지하가 당시 재벌, 국회의원, 고위 공무원, 군 장성, 장차관을 (을사보호조약 당시의 매국노에 비유하며) 담시(譚詩) 형식을 빌려 풍자한 시 <五賊>을 발표하자 이 시가 실린 문학지 ‘사상계’ 시판을 중단시켰다. 하지만 야당 기관지인 ‘민주전선’ 6월 1일 자에 이 시를 다시 게재하자 미리 정보를 입수한 기관원들이 6월 2일 (통행금지가 있던 그 시절) 새벽 1시 50분에 중앙정보부 요원들과 종로경찰서 경찰이 인쇄소에 난입하여 인쇄한 10만 부 전량을 강제 회수하였으며, 6월 20일 시인 김지하와 사상계 대표, 편집장을 “계급의식을 조장하고 북한 선전 선동물 자료로 활용되었다”는 이유를 들어 반공법 위반으로 구속기소 하였다. 7월에 경부 고속도로가 개통되었지만 1970년 11월 13일 청계천 평화시장에서 ‘미싱 시다공’ 전태일은 “우리들은 기계가 아니다.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고 외친 다음 분신을 하였다. 그는 그날 저녁 숨을 거두었다. (후략)

카테고리: news

[강의]『KU시네마테크』2014.09.03.~10.22. Contemporary Wednesday : 영화 상영과 대담 – 프로그래머: 정성일(영화평론가, 영화감독)

Contemporary Wednesday Season I: 1914 ∈ 2014

KU시네마테크에서는 8/20~12/17. 매주 수요일에 “Contemporary Wednesday, Season I” 라는 이름으로 인문학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영화 상영, 공연과 연주, 강연과 토론, 전시로 이뤄져 있으며, 영화 상영과 대담의 프로그래머로 정성일 영화평론가/영화감독이 선정되었습니다. 

8/20 에 있을 개막식 및 기자회견에 참여하시고 싶으신 분은 김봉현 프로그래머의 트윗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twitter.com/kbhman/status/497676628118364161

현재까지 KU시네마테크 네이버카페(http://cafe.naver.com/kucinema)에 영화와 관련하여 공지된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3. 영화 상영과 대담 – 프로그래머: 정성일(영화평론가, 영화감독)

I. 영화의 이야기는 어디서 길을 잃었는가 (9/3) (상세한 프로그램 안내글 링크)

<정오의 낯선 물체 Mysterious Object at Noon>, 2000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Apichatpong Weerasethakul l 다큐멘터리 l 89분

대담자: 정성일 (영화평론가/ 영화감독), 허연 (시인)

II. 영화의 작가주의는 막다른 골목을 어떻게 넘어가는가 (9/17) (상세한 프로그램 안내글 링크)

<존 말코비치 되기 Being John Malkovich, 1999> 스파이크 존즈 Spike Jonze l 드라마 l 112분

III. 영화의 이미지는 어떻게 증언하는가 (10/8) (상세한 프로그램 안내글 링크)

<리바이어던 Leviathan>,2012

루시엔 캐스터잉-테일러 Lucien Castaing-Taylor, 베레나 파라벨 Verena Paravell 다큐멘터리 l 87분

대담자: 김영노 (촬영감독), 이강현 (영화감독)

IV. 영화의 재현은 어떻게 싸우는가 (10/22) (상세한 프로그램 안내글 링크)

<잃어버린 사진 The missing Picture>, 2013 리티 판 Rithy Panh l 다큐멘터리 l 90분

대담자: 정성일 (영화평론가/ 영화감독), 김동령 (영화감독)

아래 뉴스레터에 모든 프로그램 일정과 예매방법 등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카테고리: news